청년실업 2

금융권 인력감소 지속, 희망퇴직 조건 및 예상 퇴직금 신한은행 특별 퇴직금

2017년에도 그리고 2018년에도 금융권 희망퇴직이 진행되고 있다. 다른 사업분야나 회사에서도 희망퇴직은 계속 되고 있지만 유독 금융권이 집중을 받는 것은... 금융권이 특히 은행권은 안정적이고 고수익이 보장되는 회사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 경기 침체 - 기술의 발달 : 인터넷 뱅킹, 모바일 뱅킹의 상용화 - 경쟁 심화 : 다양한 유형의 금융/결제 , 상품/서비스가 등장 (인터넷뱅크, 카카오결제,모바일 결제 등등) 등으로 인해 어쩔수 없는 선택(?)을 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장단기적인 면에서 점포와 인력 구조조정으로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과거에는 평균 은행권의 근속기간은 12~15년이었다. 대학 졸업 이후 25~29세 입사하여 40~45세까지는 안정적으로 다녔지만 이제는 4..

청년 고용의무할당제 개헌이 일자리를 만들까요?

2017년 탄핵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는 일자리 창출 공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잘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공공기관 ‘청년 고용’ 매년 정원의 5% 채운다 국정위, 청년 의무고용 비율 3%→5% 상향 민간기업 3명 고용때 1명당 연 2000만원 지원 구직수당 2019년부터 월 50만원씩 6개월간 지급 여성 일자리 대책은 육아부담 경감에 초점 육아휴직급여 인상, 남성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등문재인 정부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4일 공공기관의 청년 의무고용 비율을 늘리고, 구직 청년들과 육아휴직자에게 수당을 확대하는 등 ‘청년·여성·중장년 맞춤형 일자리 대책 이행방안’을 발표했다. 박광온 국정기획위 대변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국정기획위 기자실에서 “성별·연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