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생은 백수로 인식하지 않느다고 한다... 허허...
그럼 뭣인디?? ㅋㅋ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자격증 학원에 다니거나 고시 공부를 하는 취업준비생이 역대 최다인 7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준비생은
69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8만3천명 늘었다.
통계청의 분류상 취업준비생은 취업을 위해 학원·기관 등에 다니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스스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경우를 의미한다.
지난달 취업준비생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1월 이래 가장 많았다.
이전 기록은 2010년 3월 68만1천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생 비중은 4.1%로 역대 최고인 2010년 5월(4.4%)보다
불과 0.3%포인트 낮았다.
취업준비생 대부분은 15∼29세 청년층으로 추정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연령별 자료는 더 분석해봐야 하지만 취업준비생 중 60대 등 고령층은 별로 없을 것"이라며 "청년층에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6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2008∼2015년 청년층 취업준비생은 41만∼45만5천명이었다.
당시 연간 취업준비생 대비 70% 이상이 15∼29세 청년층이었던 셈이다.
이 같은 방법으로 추정해보면 지난달엔 48만명 이상의 청년이 취업준비생이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취업준비생이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청년층 취업난이 힘들다는 의미다.
좋은 일자리를 얻을 기회가 줄어들며 치열한 경쟁을 뚫고 입사에 성공하려면 경쟁력 있는 조건을 갖춰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안정적인 일자리가 감소하면서 공무원 되려는 '공시생'들이
늘어나는 점도 취업준비생이 증가하는 요인 중 하나다.
최근 발표된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시험에는 4천910명 선발에 역대 최대인 22만8천368명이 몰려 46.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취업준비생 증가는 청년 실업률이 하락하는 착시효과로
이어지고 정책 설계를 잘못 유도할 위험도 있다.
취업준비생들은 통계상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인원으로,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돼서다.
실제 지난달에는 오히려 청년 실업률이 전년 대비 0.9%포인트(9.5% → 8.6%) 하락했다.
AD sect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의 15∼24세 청년실업률은 10.7%로 전년(10.5%)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0년 10.8%를 기록한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8∼9%를 맴돌던 우리나라의 15∼24세 실업률은 2013년부터 상승하기 시작, 2014년에는 9년 만에 다시 10%대로 올라섰다.
한국의 청년층 실업률 상승은 2013년부터 4년 연속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계속되면서 결국 지난해 미국을(10.4%) 앞질렀다. 우리나라 청년층 실업률이 미국보다 높아진 것은 2000년 이후 16년 만에 처음이다. 미국의 청년층 실업률은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고용시장이 악화하면서 2010년 18.4%까지 치솟았지만 최근 경기가 회복되면서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우리나라의 15∼24세 실업률 상승세는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유독 도드라지는 모양새다. OECD 39개 회원국 중 2013∼2015년 3년간 청년층 실업률이 단 한해도 거르지 않고 상승한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오스트리아, 스위스, 핀란드, 프랑스, 터키 등 6개국에 불과하다
취업 안된다고 너무 좌절하지 말자.